
자산유동화란 대출채권, 유가증권, 부동산, 매출채권, 장래채권, 주택저당채권 등과 같이 유동성은 떨어지나 재산적 가치가 안정적인 자산을 유동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동화란 증권화를 통한 현금화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증권시장에서 거래되지 못했던 거래대상이 증권시장의 거래대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광의의 증권화라 한다면, 자산유동화는 유동화과정을 통하여 SPC가 발행하는 자산유동화증권의 상환이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던 기업의 자산에서 분리된 유동화자산 자체의 현금흐름과 신용도에만 의존하여 상환되는 협의의 증권화를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으며, 그 증권화 과정에서 증권발행 뿐만 아니라 기업으로부터의 자산분리나 신용보강 또는 자금의 운용, 상환구조, 기타 다양한 유동화구조의 설계 등이 포함되는 구조화금융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증권설계라는 측면에서의 자산유동화는 다수의 자산을 집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급우선순위가 상이한 다양한 계층(트랜치;tranche)의 증권을 발행하는 증권설계의 특수한 경우로서, 이 과정에서 현금흐름이 재구성되어 다양한 트랜치의 위험자산 선호자들에게 배분되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 Backed Securities)은 회사채인 경우를 말하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Asset Backed Corporate Paper)의 형태로 발행되기도 하며, 기초자산에 따라 주택저당채권인 경우에는 MBS(Mortgage Backed Securities) 사채권인경우 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불립니다. 여기서 MBS가 바로 서브프라임 사태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죠.
서브프라임 사태에 대해 대략적으로 이야기를 해본다면, 기초자산은 서브프라임등급의 주택저당채권으로 MBS가 대량으로 유통되었었는데 그 기초자산의 기초가 되었던 부동산값이 폭락하면서 주택저당채권의 원금이 회수가 불가능해졌고, 이것이 증권가격의 폭락을 가져온 것이지요(도산절연은..?)
기회가 된다면 서브프라임 사태에 대해 추가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O형남자 >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금융] 무역대금의 결제방법: ③신용장방식 (0) | 2020.05.26 |
---|---|
[PF] 프로젝트 파이낸스 성립요건 (0) | 2020.05.26 |
2020년 6월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체크포인트 (0) | 2020.05.26 |
[무역금융] 무역대금의 결제방법: ②선적서류 추심방식 (0) | 2020.05.25 |
[PF]Project Finance란? (0) | 2020.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