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형남자/생각2 작은 성취의 힘 멘탈관리. 시험을 앞두고 있는 취준생, 수험생이 많이 쓰는 말이다. 불안한 마음 때문에 공부에 집중이 되지 않고 또 공부에 집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더 불안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나도 겪어봤었다. 이 악순환은 실패경험이 있다면 더 심해진다. 또 실패하지 않을까? 내가 해낼수 있을까? 내 선택이 옳을까? 이런 생각들이 심해지면 자존감도 무너지고 우울증까지 올 수도 있다. 자존감, 조금 더 명확하게는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성공경험이다. 그런데 문제는, 1. 실패를 하면 자기효능감이 떨어지고, 2. 자기효능감이 떨어지면 동기부여가 되지 않고, 3. 동기부여가 되지 않으면 공부를 덜할수밖에 없고(회피하려는 성향이 많아지고) 4. 공부가 부족하면 또 실패할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다. 이 악순환.. 2020. 7. 5. 내재적 동기: 즐거움에 관하여 오늘 오전 업무가 늦게 끝나고 점약도 없는김에 혼자 도서관에 갈 수 있는 짬이 생겼다. 보통 경어체로 쓰는데 갑자기 이렇게 편한 말투로 쓰는 이유는 블로그 글쓰기 관련 책에 "친구한테 말하듯 편하게, 누구한테 보여지기 위하지 말고"라는 말이 와닿아서다. 그래야지만 즐겁게 계속 쓸 수 있다고. 블로그 글쓰기를 할 때 편한 말투를 사용하는것과 내재적 동기는 사뭇 거리감이 있어 보이나, 나름대로 연관성이 있다. 전자는 즐거움을 위한거고, 후자는 즐거움의 결과다. 즉, 어떠어떠해야 즐겁고, 즐거워야 동기부여가 되고 동기부여가 되어야 지속할수 있고 지속할 수 있어야 성취할 수 있다. 그게 운동이든 공부든 블로그포스팅이든. 사실 나도 처음에는 포스팅을 꾸준히 이어나갔지만, 결국 바쁘다는 핑계로 꾸준함을 상실해버리고.. 2020. 7.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