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유동화는 발행절차가 복잡하고, 또 그 복잡성으로 말미암아 회계법인, 법무법인, 신평사 앞 사용되는 수수료가 발생하여 유동화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산유동화를 통하여 자금조달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자금 조달 수단
자산유동화를 통해 자산보유자는 장기간에 걸쳐 실현되는 현금흐름을 앞당겨 실현할 수 있습니다. 자산보유자의 신용이 취약하다는 등의 사유로 자금을 조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자산유동화는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지요.
2. 재무구조 겉모습의 개선 (IFRS하에서는 그다지)
자산보유자는 자산유동화를 통하여 부채를 축소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보유자산을 매각하고 그 대금으로 부채를 상환할 경우 자기자본비율이 상승하고 또 조달된 자금을 신규 사업에 투자함으로써 회전율을 상승시켜 기업의 순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금융기관은 부실채권(NPL)을 매각함으로써 BIS 자기자본비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면 IFRS 도입에 따라 회계처리가 양도로 인정되지 않는 유동화 거래의 경우 조달자금이 차입금으로 처리되어 일반적인 자금조달과 마찬가지로 부채비율이 상승합니다.)
3. 조달비용의 절감(?)
수수료등을 포함한 All-in-cost를 감안하면 조달비용이 더 오르는 효과가 있으나, 다소 억지스럽지만 만약에 파산 절연이 이루어진 유동화 거래라면 높은 신용등급의 유동화증권 발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산보유자의 신용도에서 출발하는 일반적 자금조달 방식에 비해 조달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새로운 투자자층 접근 가능성
기존 자산보유자의 신용도로는 접근할 수 없는 금융기관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유동화를 통해 파산 절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요약하자면, 여러가지 이유가 있긴 하지만 가장 큰 장점은 자산유동화를 통해 영끌로 자금조달이 가능해진다는 것입니다.
'O형남자 >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화금융] 자산유동화 분류 (0) | 2020.06.02 |
---|---|
[PF] 부동산 개발사업의 유형 (0) | 2020.05.29 |
[PF]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특징 (0) | 2020.05.28 |
[PF] 프로젝트 파이낸스에서의 금융기관 역할 (0) | 2020.05.27 |
[무역금융] 무역대금의 결제방법: ③신용장방식 (0) | 2020.05.26 |
댓글